국토교통부가 집계한 건설기계 등록현황에 따르면 덤프트럭 등록대수는 지난 10년간 거의 변동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2014년 말 기준 5만 4,395대였던 덤프트럭은 2024년 12월 말 5만 3,688대를 기록해 1.3%(707대) 소폭 감소에 그쳤다. 이 기간 동안 건설·공사 현장의 경기가 등락을 반복했음에도 불구하고, 덤프트럭 등록대수는 사실상 안정세를 보였다. 등록된 덤프트럭 중 약 90%는 영업용으로, 톤급 기준으로는 25.5톤급(8×4) 이상의 대형 모델이 65%를 차지하며 시장을 주도한다. 하지만 영업용 덤프트럭은 10년간 단 0.4% 증가에 머물렀고, 연간 증감율도 0.6%에 불과해 시장 성장 동력이 매우 제한적임을 드러냈다.
반면 자가용 덤프트럭은 2014년 6,967대에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건설경기 호조와 영업용 증차 제한 정책의 영향으로 급격히 증가해 2017년에는 1만 2,363대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이후 매년 감소하며 2024년에는 5,990대까지 줄어 10년 새 14% 이상 크게 감소한 모습을 보였다. 이처럼 자가용 덤프트럭이 급증했던 시기는 영업용 덤프트럭 신규 등록이 제한되면서 수요가 자가용으로 몰린 결과였다. 특히 이들 자가용 차량은 상당수가 불법 영업에 투입돼 시장의 과잉 공급과 불균형을 심화시켰으며, 정부가 단속을 강화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불법 영업 문제는 건설 현장과 덤프트럭 시장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끼쳤고, 건설기계 임대사업자들의 시장 안정과 보호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높였다.
덤프트럭 등록대수가 장기간 정체된 또 다른 원인으로 ‘말소’ 등록이 꼽힌다. 노후 차량 폐차, 수출, 검사 미필 및 허위 등록 등 다양한 이유로 말소 등록이 지속되면서 전체 등록대수 변동폭을 제한하는 역할을 했다. 특히 자가용 덤프트럭이 급증했던 시기에는 말소 등록대수도 동반 상승해 두 지표가 반비례하는 양상을 보였다. 정부는 2009년부터 건설기계수급조절위원회를 통해 영업용 덤프트럭 신규 등록을 2년 주기로 제한해왔으며, 이는 공급 과잉과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임대사업자 보호를 위한 정책이다.
다만 멸실, 수출, 도난, 폐기 및 반품 등으로 인한 말소 후 같은 기종 교체는 허용한다. 현재 정부는 2024년과 2025년 양년 동안 총 등록대수의 3% 이내(연간 약 1,400대) 신규 등록을 한시적으로 허용하고 있지만, 실제 증가는 그 허용량의 20% 수준에 불과해 전반적인 시장 성장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다. 건설경기 부진과 엄격한 규제 속에서 업계는 올해 역시 지난해와 유사한 증차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덤프트럭 #덤프트럭등록대수 #영업용트럭증가 #덤프시장현황 #화물차시장분석